20. 건설관리

[스크랩] 열관류율로 에너지절약 계산

민이1021 2012. 11. 15. 11:07

앞에서는 복층유리와 로이유리에 대해 차폐계수로 냉방부하 절감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열관류율로 온방부하저감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표 1] 기준유리의 광학적/열적 특성

 

               가시광선 투과율(%)           차폐계수(SC)         열관류율(W/㎡×Κ)

3mm              90                                       1                                  5.95

5mm              89                                     0.97                             5.80

6mm              88                                     0.96                             5.80

 

[표2] 복층유리 및 로이유리의 광학적/열적 특성

 

 

 

 열관류율을 비교해보면 5mm기준 5.95에서 복층유리는 3.25/로이복층유리는 1.74로 각각

약 45%/85%의 성능 향상이 되어 뒤에서 이야기 하는 온방부하(집안에 온방을 위해 소비하는 에너지)는

대폭적으로 감소하겠습니다.

 

유리창에 대해 일정정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저해되더라도 냉방부하와 온방부하를 동시에 줄일 수 있다는

것은 그 많은 효율적인 시스템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투명복층이든 로이복층이든(투명기준) 차폐계수는 그다지 낮아지지 않습니다.(즉, 온방부하는

일반복층과 로이복층이 거의 45%/85% 이상의 효율이 나오는데 반해 차폐계수는 15%/28% 정도의

감소되지 않습니다)

 

차폐계수를 더 낮추기 위해서는 결국 가시광선 투과율을 50%대로 낮추어야 하는데 그러면 실내가 상당히

어두워지리라 판단됩니다. 실내가 어두워지면 항상 불을 켜야하기 때문에 조명을 위한 에너지 소비는 더 올라

갈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신축의 경우에는 이러한 여러 요소를 고려해서 창을 설계/시공하면 되겠지만 기존의 주택의 단판유리와

복층유리를 모두 로이유리로 바꾸는 문제는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닐것입니다.

 

그래서, 단열필름이나 단열코팅 시장이 급성장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겠습니다. 

 

일반 주택이나 건물대상으로 판매되고 있는 필름이나 코팅제품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그 제품이 얼마만큼의

냉방부하를 줄여 줄 수 있는지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단위들이 U-value/W/㎡×Κ/kcal /㎡h℃ 등 여러가지로 사용되는데

W/㎡×Κ로 통일해서 비교해 보시면 됩니다. 단, 열관류율을 표시할 경우 그 제품의

열관류율이 여름기준인지 겨울기준인지를 반드시 보아야 합니다.

위의 표에 있는 DATA는 모두 겨울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간혹, 필름제품 중에 6mm기준, 여름기준 열관류율을 사용하는 경우있는데 이 경우

반드시 6mm / 여름기준 U-value를 확인하시고 비교 바랍니다.

 

참고로 3mm 여름기준 U-value = 0.96(5.45W/㎡×Κ)정도입니다.

                        

[참고사항]

W/㎡×Κ = 약 0.86kcal /㎡h

kcal /㎡h℃ = 약 1.16W/㎡×Κ 

W/·K = 5.6783 *  Btu /h.ft2.F(U-Value)

 

출처 : INOITEM
글쓴이 : 이노아템 원글보기
메모 :